별명

블랙박스 테스트, 펑션 테스트

 

정의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의 테스트 수법 중 하나로서, 테스트 대상의 내부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외부에서 본 기능이나 동작이 올바른지를 검증하는 수법의 테스트이다.

 

특징

- 입출력에만 착목하여 다양한 입력에 대해 상정한 대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 테스트 케이스의 작성에 내부의 처리흐름이나 프로그램 구조는 고려하지 않는다.

 

수법

단, 막무가내로 정한 입력값으로는 처리의 올바름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수법을 사용한다.

- 사양상 같은 처리를 수행할 터인 값의 범위나 그룹을 구하여 각 범위의 대표치를 선택하여 테스트하는 동치분할

- 범위의 경계부근이 올바른 처리를 하는지 확인하는 「한계치분석(=경계치분석)」

 

출처 : e-words.jp/w/%E3%83%96%E3%83%A9%E3%83%83%E3%82%AF%E3%83%9C%E3%83%83%E3%82%AF%E3%82%B9%E3%83%86%E3%82%B9%E3%83%88.html

 

http://e-words.jp/w/%E3%83%96%E3%83%A9%E3%83%83%E3%82%AF%E3%83%9C%E3%83%83%E3%82%AF%E3%82%B9%E3%83%86%E3%82%B9%E3%83%88.html

 

e-words.jp

 

반응형

'■ 개발 공정 >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키 테스트(Monkey Test)  (0) 2020.10.16
테스트 자동화의 범위  (0) 2020.10.02
결합시험 사양서 작성 요령  (0) 2020.10.02
IT(Integration Test), 결합 시험이란?  (0) 2020.09.30

목적

개발자가 생각치 못한 에러를 찾아내는 것

 

개요

시험할 부분, 조작법의 상정이나 개발자의 의도에 대한 고려 없이

시험 실시자가 즉흥적으로 조작하는 시험 방법이다.

 

명칭의 유래

원숭이에게 시켜 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

 

상세

일반적으로 테스트는 대상의 설계, 구조, 용도, 조작법을 고려한 순서나 변수를 미리 정한다.

하지만, 몽키 테스트는 확신으로 인한 시험 관점의 누수를 배제하기 때문에

개발자가 생각하지 못한 에러를 발견하기도 한다.

 

주의점

에러가 발생했을 때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조작한 순서의 기록, 관찰을 신중히 해야 한다.

 

몽키 테스트 방식

- 랜덤한 조작을 연속적으로 시험하는 방식

- 시험대상 사용 경험이 없는 유저에게 설명 없이 사용하게 하는 방식

- 개발측의 사람이 통상적이지 않은 조작을 굳이 수행하는 방식 ... ex) 버튼 연타

 

출처 : e-words.jp/w/%E3%83%A2%E3%83%B3%E3%82%AD%E3%83%BC%E3%83%86%E3%82%B9%E3%83%88.html

반응형

테스트를 자동화한다고 했을 때, 자동과 수동의 경계는 어떻게 될까?

한 칼럼에서 읽은 내용을 정리했다.

 

"테스트 자동화"라고 하면 일반적 인식으로는 PT의 기능 요건에 한정된다.

 

테스트는 공정에 따라,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 공정

- 개발자 담당 : PT(Program Test), IT(Integration Test), ST(System Test)

- 고객 담당 : 수입 테스트, OT(Operation Test), BT(Beta Test)


(2) 종류

- 기능 요건 : 기능 테스트

- 비기능 요건: 성능 테스트, 조작성 테스트, 보안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 시, 필요한 상황 인식

1) 현 시스템은 어떤 단계의 테스트까지 진행할 필요가 있는가?

2) 그 중 어떤 테스트를 자동화 할 것인가?

3) 자동화 할 수 없는 부분은 어느 타이밍에 확인할 것인가?

 

테스트 툴 추천

1) Selenium Web Driver

- 화면 조작계 시험의 자동화 툴

- 간단한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사용

- 화면 표시 내용과 기대치를 비교한 검증이 가능

 

2) Apache JMeter

- 부하 시험용 툴

 

3) OWASP ZAP

- 보안 테스트 툴

 

참고 : qiita.com/gevanni/items/ff9a27936a1a6df28b9a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