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를 자동화한다고 했을 때, 자동과 수동의 경계는 어떻게 될까?
한 칼럼에서 읽은 내용을 정리했다.
"테스트 자동화"라고 하면 일반적 인식으로는 PT의 기능 요건에 한정된다.
테스트는 공정에 따라,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 공정
- 개발자 담당 : PT(Program Test), IT(Integration Test), ST(System Test)
- 고객 담당 : 수입 테스트, OT(Operation Test), BT(Beta Test)
(2) 종류
- 기능 요건 : 기능 테스트
- 비기능 요건: 성능 테스트, 조작성 테스트, 보안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 시, 필요한 상황 인식
1) 현 시스템은 어떤 단계의 테스트까지 진행할 필요가 있는가?
2) 그 중 어떤 테스트를 자동화 할 것인가?
3) 자동화 할 수 없는 부분은 어느 타이밍에 확인할 것인가?
테스트 툴 추천
1) Selenium Web Driver
- 화면 조작계 시험의 자동화 툴
- 간단한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사용
- 화면 표시 내용과 기대치를 비교한 검증이 가능
2) Apache JMeter
- 부하 시험용 툴
3) OWASP ZAP
- 보안 테스트 툴
반응형
'■ 개발 공정 >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Function Test), 기능 시험이란? (0) | 2020.11.04 |
---|---|
몽키 테스트(Monkey Test) (0) | 2020.10.16 |
결합시험 사양서 작성 요령 (0) | 2020.10.02 |
IT(Integration Test), 결합 시험이란? (0) | 2020.09.30 |